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이론에 대해 알아보자

사회복지사

by 두별의힘 2023. 6. 10. 11:51

본문

반응형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이론 단계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이론은 개인의 발달을 8단계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각 단계에서는 심리적 위기를 경험하게 됩니다.  개인이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따라 긍정적인 성격 특성이나 부정적인 성격 특성이 발달된다고 주장합니다.


기본적 신뢰 대 불신 (신뢰 vs. 불신): 태어나서 1세까지의 단계로, 아기는 희망(hope)을 발달시키게 됩니다. 이는 미래를 낙관적으로 보는 경향성을 의미하며, 아기들이 외부에 나아가도록 돕습니다. 적절한 신뢰와 불신의 경험은 아기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후의 발달에 기반이 됩니다. 신뢰 대 불신 단계는 영유아기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연령에 관계없이 믿을 만한 사람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불신 능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적절한 수준의 불신은 자아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신뢰감을 발달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단계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신뢰와 안정감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양육자의 돌봄과 관심을 통해 기본적인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자율성 대 수치심 및 의심 (자율성 vs. 수치심): 1세에서 3세까지의 단계로, 항문기에서 나타나는 갈등을 "자율성 대 수치와 회의"라고 지칭하며, 이유는 아동의 의지와 사회 규제 간의 갈등이 이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합니다. 자율성은 아동이 어떤 일을 하는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대한 행동에 사회의 기대와 압력을 의식하면서 수치와 회의가 발생합니다. 갈등을 적절히 경험하여 해결하는 것은 아동이 의지를 발달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이는 개인이 사회에서 기능하는 구성원이 되는 기반이 됩니다 자아의 독립성과 자기 결정에 대한 경험이 중요합니다. 양육자는 자녀에게 독립적인 행동을 허용하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주도성 대 죄책감 (주도성 vs. 죄책감): 3세에서 5세까지의 단계로, 남근기의 아동이 성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을 목표를 형성하고 수행하며 경쟁하는 관입(intrusion)의 행동 양식으로 이해했습니다. 이 시기의 주요 개념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얼마나 주도적으로 노력하는가, 즉 주도성(initiative)입니다. 아동들은 자신의 계획과 희망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며, 어떤 행동에는 사회적인 제약이 있고 예상보다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이러한 인식은 죄의식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결국 초자아로 내면화되고 자기 억제 기능을 발달시킵니다.주도적이고 리더십을 가질 수 있는 능력이 발달하는 시기입니다. 양육자는 자녀가 도전하고 책임을 지게 하며, 적절한 규칙과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야 합니다.

근면성 대 열등감 (근면성 vs. 열등감): 6세에서 11세까지의 단계로, 4단계는 학령기에 해당하며, 아동들은 학교에 입학하고 공식적인 학교 시스템에 편입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학교뿐만 아니라 가정, 거리, 또래와의 놀이 맥락에서도 다양한 유형의 학습 기회가 제공됩니다.성공적인 경험을 통해 아동은 근면감(industry)이라는 유능감을 발달시키게 됩니다. 이는 자신의 능력과 업적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실패한 경우에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부족함을 느끼고 열등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열등감을 느끼는 것은 동기 부여와 개선을 위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지만, 과도한 열등감은 적응에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인간의 능력과 역량을 인정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양육자는 자녀의 노력을 인정하고, 성취감과 자신감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정체성 대 정체성 혼란 (정체성 vs. 정체성 혼란): 청소년기인 12세에서 18세까지의 단계로, 청소년기는 사회적 요구와 생물학적 성숙이 가장 높은 시기로, 생물학적으로 청소년기는 신체적인 성숙과 성적인 변화가 급격히 일어나는 시기이며, 이러한 변화는 자아에 위협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그러나 청소년기의 문제는 단지 생물학적인 문제에만 기인하는 것은 아닙니다. 현대 사회에서 청소년은 어린이도 아니고 성인도 아닌 중간 단계로 인식되며, 이로 인해 상반되고 모호한 요구들이 증가합니다. 즉 자기 정체성을 발견하고 수용하는 과정입니다. 사회적인 지지와 자기 탐구의 기회를 제공하여 자신의 가치와 목표를 찾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친밀감 대 고립 (친밀감 vs. 고립):  성인 초기의 발달 단계는 친밀감 대 고립감의 단계로 불리며, 청소년기의 단계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청소년기는 기본적으로 자아에 집중하는 시기이지만, 성인 초기에는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을 넓혀야 합니다. 이 단계에서의 발달 과제는 의미 있는 대인 관계를 형성하여 친밀감을 넓히는 것입니다.

깊은 관계와 사회적 연결이 형성되는 시기입니다. 가족, 친구, 파트너와의 친밀한 관계를 발전시키는데 중점을 둬야 합니다.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친밀감을 형성한다면 보다 성숙한 자아 역량, 즉 '사랑'을 발달시킬 수 있다고 에릭슨은 보았습니다.

생산성 대 침체 (생산성 vs. 침체): 중년에서 장년까지의 단계로, 친밀감을 형성한 두 사람 간의 관계는 이제 그들을 초월하여 다음 세대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다음 세대를 생산하고 가치를 전달하는 과정으로 나아가는데,  좁게는 자녀를 낳고 키우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보다 넓은 의미에서 생산성은 자신의 능력이나 가치를 다음 세대에게 전달하는 모든 활동을 포함합니다. 사회에 기여하고 성취를 이루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자신의 역할과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통합 대 절망 (통합 vs. 절망): 노년기로, 인생을 살다 보면 후회하는 일들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후회를 수용하고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며 그 안에서 의미를 찾을 때, 진정한 의미에서의 자아 통합감(integrity)이 형성됩니다. 이는 자신이 이전 세대와 자신의 과거와의 일관성을 가진 존재임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반면 자신과 자신의 인생에 대한 혐오나 죽음에 대한 과도한 두려움이 존재할 경우, 이는 절망감(despair)이라는 부정적인 특성을 낳을 수 있다고 에릭슨은 주장했습니다.일생의 경험과 성취를 통합하고 만족을 느끼는 단계입니다. 삶을 돌아보고 자신의 인생을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에릭슨의 이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각 단계에서 어떤 심리적 위기를 겪고 있는지를 이해하며, 해당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단계의 긍정적인 성격 & 부정적인 성격 특성

기본적 신뢰: 자신과 타인에 대한 신뢰감
기본적 불신: 자신과 타인에 대한 불신감
자율성: 자기 조절력, 독립성
수치심과 회의: 수치심, 회의감
주도성: 목표 설정 능력, 리더십
죄책감: 죄책감, 자기 비하
근면성: 노력, 성취감
열등감: 열등감, 무능감
정체성: 자신의 정체성, 가치관
역할 혼돈: 자신의 정체성, 가치관에 대한 혼란
친밀감: 사랑, 우정
고립: 외로움, 고독
생산성: 창조성, 기여
침체: 무기력감, 무관심
통합성: 인생에 대한 만족감
절망: 인생에 대한 불만족감, 절망감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