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초등학생 "ㄱ" 으로 시작하는 고사성어 (2)

일상생활

by 두별의힘 2023. 6. 14. 20:40

본문

반응형

결초보은(結草報恩)

"결초보은"은 한자어로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는 뜻입니다. 즉, 작은 은혜라도 잊지 않고 갚는다는 뜻입니다.

결초보은의 유래는 중국의 고대 이야기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결초보은은 상대방으로부터 받은 은혜에 대한 감사와 보답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도움을 주었을 때, 그 도움에 대한 감사를 표현하고, 그 사람에게 보답하는 것이 결초보은의 핵심입니다. 옛날에 한 노인이 길을 가다가 굶주린 소년을 만났습니다. 노인은 소년에게 밥을 주고 돌봐주었습니다. 소년은 노인의 은혜를 잊지 않고 자라서 큰 인물이 되었습니다. 그 소년은 노인을 찾아가 풀을 묶어 은혜를 갚았습니다.

고진감래(苦盡甘來)

"고진감래"는 '쓴맛을 다 마시면 단맛이 온다'는 뜻의 한자성어입니다. 고난을 겪고 나면 반드시 좋은 일이 생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고진감래는 고전 문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현으로, 우리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는 말입니다.
고진감래는 우리 삶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입니다.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는 사람들이 많지만, 결국은 그 시기를 극복하고 좋은 일들이 생깁니다. 고진감래는 우리에게 어려운 시기를 견뎌내고, 희망을 잃지 말 것을 가르쳐줍니다.
고진감래는 우리 삶의 모든 면에서 적용될 수 있는 말입니다. 공부를 열심히 해서 좋은 성적을 받는 것, 운동을 열심히 해서 건강을 얻는 것, 어려운 경제적 상황을 극복한 후 풍족한 삷을 누리는 것도 고진감래입니다

과유불급(過猶不及)

"과유불급"은 "지나치게 함은 못하는 것과 같고"라는 뜻으로, 너무 과하거나 지나치게 행동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거나 오히려 역효과를 초래한다는 의미를 갖는 말입니다.

과유불급은 우리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부에서 너무 공부에 집중하여 휴식이나 적절한 여가 시간을 갖지 않으면  피로하고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운동에서도 지나치게 과격한 운동을 하면 부상이나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업무에서도 지나치게 일에 몰두하여 균형 잡힌 생활을 유지하지 못하면 스트레스나 신체적, 정신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과유불급의 교훈은 적당한 중용의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입니다.

괄목상대(刮目相對)

"괄목상대"는 다른 사람의 학식이나 재주가 놀라울 만큼 뛰어나다는 뜻으로, 눈을 비비고 다시 보며 대한다는 의미를 갖는 고사성어입니다.
이 고사성어는 중국의 역사서인 (삼국지)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조조가 유비를 처음 만났을 때, 유비의 학식과 재주에 놀라워서 "괄목상대"라고 말했다고 전해집니다. 이는 유비의 뛰어난 능력에 대한 인정과 존중의 표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괄목상대는 다른 사람의 업적이나 능력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마음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그 사람의 뛰어난 실력이나 성과를 인식하고 경의를 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자신의 한계나 부족함을 인정하며, 다른 사람의 발전과 업적에 주목하고 격려하는 태도를 가지는 것을 강조합니다. 

군계일학(群鷄一鶴)

"군계일학"은 "닭장 안에서 한 마리 학"이라는 뜻으로, 무리 중에서 단 한 사람만이 뛰어나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공자는  "닭들은 모두 닭이지만, 그 중에서도 한 마리만이 뛰어나다. 그 한 마리가 바로 군계일학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렇게 군계일학은 무리 중에서 뛰어난 능력을 가진 단 한 사람을 의미합니다. 군계일학은 뛰어난 능력과 지도력을 가진 사람이 사회적으로 올바른 방향으로 인도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는 의미를 내재하고 있습니다. 이 말은 우리에게 다른 사람들과 차별화된 능력을 가지고 있다면, 그 능력을 사회에 공헌하여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자는 교훈을 전달합니다. 또한, 군계일학은 한 사람의 영향력이 전체 집단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줍니다.

권선징악(勸善懲惡)

"권선징악"은 "옳은 일을 하는 사람은 복을 받고, 나쁜 일을 하는 사람은 벌을 받는다"는 말로써,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랫동안 받아들여진 도덕적 원칙입니다.
권선징악은 사회에서 좋은 행동과 나쁜 행동에 대한 결과와 보상을 강조합니다. 이 말은 사람들에게 옳은 행동을 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나쁜 행동을 자제하도록 경고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원칙은 사회적 질서와 윤리를 유지하는 데 기여하며, 사회적 관계의 안정성과 조화를 이루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흥부와 놀부를 보면 제비 다리를 고쳐준 착한 흥부는 큰돈을 벌고, 일부러 제비 다리를 부러뜨린 놀부는 벌을 받게 되는 권선징악의 예입니다.

금상첨화(錦上添花)

"금상첨화"는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 위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 회사는 매출이 증가하고 직원들의 사기가 높아서 금상첨화입니다." "크리스마스에는 산타할아버지 선물과 부모님 선물을 받을 수 있어서 금상첨화예요."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금시초문(今時初聞)

"금시초문"은 처음 듣는 말이라는 뜻입니다. '금시'는 '금시라도', '초문'은 '처음 듣는 문'을 뜻합니다. '금시초문'은 흔히 '처음 듣는 말'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어떤 정보나 이야기를 처음으로 접하거나 듣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개념이나 독특한 사실을 소개할 때, 또는 처음 듣는 대답이나 의견을 표현할 때 '금시초문'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새로움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금시초문입니다."라고 하면 "처음 듣는 말입니다."라는 뜻입니다.

기사회생(起死回生)

"기사회생"은 죽을 뻔하다가 다시 살아나는 것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기'는 '일어나다', '사'는 '죽다', '회'는 '돌아오다', '생'은 '살다'를 표현합니다. 따라서 '기사회생'은 처음에는 죽을 위기에 처해있었지만, 어떠한 사건 또는 상황을 통해 다시 살아나며 위기를 극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병에 걸려 치명적인 상태였지만 의료진의 노력과 치료로 인해 환자가 완치되는 경우에 '기사회생'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는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해있던 기업이 어려움을 극복하고 다시 번영하는 경우에도 '기사회생'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기사회생'은 어려운 상황에서 힘을 내어 극복하는 용기와 인내를 강조하는 표현으로, 좌절하지 않고 힘든 시기를 극복하여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희망과 성공을 상징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